프리미어 프로에는 비디오와 오디오 클립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들이 있습니다. 효과를 적용하여 영상에 변화를 줌으로써 다른 느낌을 표현할 수 있는데요. 영상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은 가장 쉽게 영상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기능으로, 이어지는 부분을 매끄럽게 바꾸거나 느린 장면으로 강조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영상 재생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속도 조절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프리미어 프로에서 영상에 효과를 적용하고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
1) 영상에 적용할 수 있는 Effect(효과) 사용법
① 프리미어에서 제공하고 있는 영상 효과는 Effects 패널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종류별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탭을 눌러서 찾을 수도 있고, 효과 제목을 검색하여 찾을 수도 있습니다. 이펙트 패널에서 찾은 효과를 원하는 클립 위로 드래그&드롭하여 적용합니다. 또는 클립을 선택해둔 상태에서 효과를 더블클릭해도 적용됩니다. 효과는 보통 이펙트 패널에서 찾을 수 있지만 클립에서 마우스 우클릭하여 적용할 수 있는 효과들도 있으니 같은 효과는 편한 방법으로 적용하시면 됩니다.
② 적용된 효과는 Effect Controls 패널에서 옵션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효과마다 옵션 설정 항목과 값이 다릅니다. 클립을 선택하면 이펙트 컨트롤 패널에 적용된 옵션 값들과 효과들이 표시되며 효과의 옵션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적용된 효과를 삭제하고 싶다면, 이펙트 컨트롤 패널에서 해당 효과 제목을 선택한 뒤 제거하면 됩니다. (delete 눌러도 됩니다.)
③ 적용된 효과를 다른 클립에 복사, 붙여 넣기 할 수 있습니다. 효과 제목이 클릭된 상태에서 복사[ctrl+C]한 뒤, 원하는 클립을 선택한 후 붙여 넣기 [ctrl+V]합니다. 다중 선택하여 한번에 붙여 넣기 할 수 있습니다.
2)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 Speed/Duration
동영상은 사진의 연속으로, 재생 속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FPS가 중요합니다. 보통 일상적인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1초 동안 30장의 사진, 즉 30(29.97) FPS 영상이 필요합니다. (스마트폰의 슬로모션 옵션에서 많게는 초당 240 프레임까지 촬영이 가능합니다.) 영상이 가지고 있는 FPS 값을 조절하여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만들 수 있습니다.
① Slow Motion
슬로 모션의 경우 영상을 끊김 없이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조절할 속도에 맞는 FPS 영상이 필요합니다.
ex1) 30 FPS=1초 동안 30장 → 2배 느리게 재생 = 2초 동안 30장 = 1초 동안 15장 비어 있는 프레임 개수만큼 영상이 끊어져 보입니다. 따라서, 2배 느리게 (부드럽게)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1초=60장의 사진 즉 60 FPS 영상이 필요합니다. |
ex2) 30(29.97) FPS시퀀스에서 120 FPS의 동영상은 120/30=4이므로, 4배 느리게 재생시켜도 전혀 끊김 없이 재생이 가능합니다. (1초에 120장이 담긴 영상이지만, 시퀀스 자체를 30장만 보이게 했으므로 끊김 없이 재생이 되는겁니다.) |
속도를 조절할 클립을 선택한 뒤 마우스 우클릭하여 Speed/Duration 클릭하거나, 단축키 [ctrl+R]를 사용하여 옵션 창을 활성화합니다. 속도를 느리게 만들려면, Speed 낮추거나 Duration을 길게 조절합니다. Speed=50%로 설정하면, 2배만큼 영상을 느리게 재생됩니다. 그만큼 영상의 길이(Duration)도 2배로 늘어나고 클립의 길이도 2배 늘어나게 됩니다.
② Fast Motion
빠른 재생이므로 프레임 수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원본에서 정해진 속도에 맞게 프레임을 고르는 것이므로 상관없습니다.) 속도를 조절할 클립을 선택한 뒤 마우스 우클릭하여 Speed/Duration 클릭하거나 또는 단축키 [ctrl+R]를 사용합니다. 재생 속도를 빠르게 만들려면, Speed를 높이거나 Duration을 짧게 조절합니다. Speed=400%로 설정하면, Duration도 4배 짧아지고 클립의 길이도 4배 짧아집니다.
- 기본 속도의 값은 100%입니다. 속도의 값을 조절하여 재생 속도를 변경합니다. 숫자가 커질수록 빨랍니다.
- Duration은 '시간, 프레임'의 시간 길이를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 Reverse Speed를 체크하면 영상을 역재생합니다. (반대로 재생)
- 이미 가편집이 된 상태에서 속도를 조정할 때 'Ripple Edit, Shifiting Trailing Clips'를 체크해야 합니다. 클립의 길이가 변함에 따라 뒤쪽에 있는 클립도 자동으로 이동됩니다.
- 이미지 클립도 시간 조절이 가능합니다. Speed/Duration에서 Duration 길이를 수정합니다. (1초=0100 → 01(초단위) 00(프레임 단위))
- 오디오 클립도 같은 방법으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음역대가 달라져서 다른 느낌으로 변합니다.)
'Adobe Premiere Pro * 프리미어 프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미어 프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오디오 효과 (Synchronize/Audio Ducking/Multiband Compressor) (0) | 2022.03.08 |
---|---|
프리미어 프로의 다양한 Key Frame(키프레임) 활용법 (0) | 2022.03.07 |
프리미어 프로에서 그래픽 요소에 관련된 도구 (Pen Tool/Rectangle Tool/Type Tool) (0) | 2022.02.24 |
프리미어 프로에서 클립을 선택, 이동, 편집할 때 사용하는 도구들 (Select Tool/Ripple&Rolling Edit Tool/Slip Tool/Slide Tool) (0) | 2022.02.23 |
프리미어 프로의 타임라인 패널 (영상과 오디오 편집) (0) | 2022.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