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dobe Premiere Pro * 프리미어 프로

프리미어 프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오디오 효과 (Synchronize/Audio Ducking/Multiband Compressor)

by mono:D 2022. 3. 8.

영상 제작에 있어서, 오디오는 비디오만큼이나 중요한 요소입니다. 오디오로 인하여 분위기가 달라질 수도 있고, 싱크가 맞지 않는다면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생기게 됩니다. 오디오 클립에 관련하여 오디오의 음량과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와, 오디오를 보정하여 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에 대하여 정리했습니다.


프리미어 프로 오디오 효과

 

프리미어 프로에서 제공하는 유용한 Audio Effect(오디오 효과) 기능들

1) 싱크를 맞출 때 사용하는 Synchronize(싱크로나이즈)

프리미어 프로의 싱크로나이즈는 마이크와 카메라를 따로 사용하여 오디오와 영상의 싱크를 맞춰야 할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오디오 클립을 BGM이라고 생각하고 조정합니다. 중복되지 않도록 싱크를 맞춘 뒤 영상에 링크되어 있는 오디오 클립은 삭제해야 합니다. 자주 쓰는 기능이므로 단축키 설정하여 사용하면 좋습니다. (지정된 단축키가 없으므로 custom 해야 합니다.)

① 비디오와 오디오를 따로 녹음하여 싱크를 맞출 때 싱크로나이즈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수동으로도 맞출 수 있습니다. 다만, 싱크 맞출 걸 대비하여 영상 제작 시 소리의 기준을 넣어두면 좋습니다. (박수와 같은 큰 소리의 파장) 타임라인을 확대한 후 기준 소리의 파장을 맞춰서 영상 클립과 오디오 클립을 겹칩니다. 그러고 나서, 방향키 이용하여 디테일하게 수정합니다. [ctrl+ ←, →]는 1 프레임 단위로 클립을 이동하고, [ctrl+shift+ ←, →]는 5 프레임 단위로 클립을 이동합니다.

② CC버전에서는 싱크로나이즈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맞출 수 있습니다. 싱크 맞출 클립을 모두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하여 Synchronize를 클릭합니다. 옵션 창에서 Synchronize Point Audio로 선택하여 싱크를 맞출 수 있습니다. 클립의 위치가 달라도 가능합니다. 자동 싱크 후에도 하울링이 느껴진다면, 수동 조작으로 수정해야 합니다.

2) 오디오 타입에 맞춰서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Audio Ducking(오디오 더킹)

오디오 더킹은 대화나 내레이션이 있는 영상에서 목소리 구간에 따라 배경 사운드(BGM)의 볼륨을 타이밍에 맞춰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입니다. 간단한 경우는 키프레임을 수작업으로 추가하여 조절할 수 있지만, 수정 구간이 많을 때는 Audio Ducking을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워크스페이스에서 ‘Audio’를 선택한다면, Audio Ducking 패널을 볼 수 있습니다.

Audio Ducking 오디오 더킹 패널

  • 각각의 오디오 클립들이 어떤 타입인지 선택합니다. → 패널에 Ducking 메뉴가 나타납니다.
  • Duck against 중 마지막 타입 (사진에서 파란색 박스) : 클립의 타입을 정하지 않고도 모든 클립을 더킹 시켜 키프레임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Sensitivity (민감도) : 목소리 파장이 시작되는 구간으로부터 더킹이 얼마나 멀리 또는 가깝게 시작할지 정하는 옵션입니다.
  • Duck Amount (볼륨 감소량) : 데시벨 수치가 낮을수록 더킹 되는 구간의 소리를 더 작게 조절합니다.
  • Generate Keyframes : 오디오 더킹에서 설정한 옵션으로 사운드에 키프레임을 찍어 줍니다.

3) Multiband Compressor(멀티밴드 컴프레서)로 목소리 보정하기

프리미어 프로의 멀티밴드 컴프레서는 목소리 보정 효과, 데시벨과 더불어 이퀄라이저까지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퀄라이즈는 오디오마다 가지고 있는 주파수의 특성을 조정하는 개념입니다. Effects 패널에서 Multiband Compressor를 검색한 후 클립에 적용합니다. (오디오 효과이므로 비디오엔 적용 안됩니다.) Effect Controls 패널에서 옵션을 설정합니다. Custom Setup Edit를 클릭하고 Presets 메뉴에서 원하는 타입을 선택하면 됩니다. (Pop Master=목소리를 더 또렷하게 만들어줍니다. / walkie Talkie=무전기) 그리고 Thresh 값을 조절하여 데시벨을 조정합니다. 낮을수록 볼륨이 커집니다.

4) 화면조정 기능이지만 효과음으로 사용하기

사실 Bar and Tone (화면조정)은 수신되는 전파에 따라 영상과 소리 크기를 점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이지만, 화면 조정에서 나오는 소리를 효과음으로 추출할 수 있습니다. 화면 전환 시-‘ 소리의 효과음을 넣을 수 있습니다. 클립에서 효과음이 들어갈 구간만큼 양쪽에 마커 [M]를 찍은 뒤, Project 패널의 New Item에서 HD Bars and Tone를 선택합니다. 해당 소스를 마커 사이에 가져온 뒤 비디오 클립은 삭제하여 오디오 클립만 남기고 효과음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